본문 바로가기
해부학의 모든것/근육의 모든것

대퇴사두근 (Quadriceps)

by 용~한 PT 2020. 7. 31.

안녕하세요 용~한 PT입니다^^

이번에는 대퇴사두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퇴사두근은

시작점을 대퇴골과 장골로 가지고 있으며

끝점은 슬개골을 지나 경골에

붙어있는 근육입니다

 

모든 근육은

끝점에서 시작점 방향으로 수축하므로

대퇴사두근은 무릎을 펴 올리는

동작을 수행합니다

 

사두근이라 함은 쉽게 

근육이 네 가지가 있다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되는데요

내측광근 외측광근 중간광근 대퇴직근

이렇게 네 가지 근육으로 구성됩니다

 

 

 

가짓수가 많은 만큼

굉장히 큰 근육이고요

이 근육도 시작점이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요

대퇴골과 장골이 그것입니다

 

장골은 이해하기 쉽게

고관절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요

세 가지 광근은 대퇴골에

대퇴직근은 장골에

붙어있습니다

 

이게 어떤 의미냐면

세 가지 광근은 단순히

무릎을 펴 올리는 동작만을 수행하고

대퇴직근은 무릎을 펴 올리는 것뿐 아니라

무릎을 편채로 다리 전체를

앞으로 들어 올리는 동작도

수행한다는 얘기입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고관절이 구부러진 채로 움직이는 

레그 익스텐션의 경우 

자세 자체가 고관절에서부터

시작되는 대퇴직근은 

최대 신전이 되지 않고

수축된 상태이기 때문에 운동이 잘 안 되고 

광근이 더 많이 운동이 된다는 얘기입니다.

 

그러면 대퇴사두근 중간에 있는

대퇴직근은 어떨 때 운동이 되는 걸까요

대표적인 동작으로는

레그 레이즈가 있습니다

 

다리가 일직선으로 펴질 때

장골에 붙어있는 대퇴직근이 신전되게 되며

이상태에서 다리 전체를

올렸다 내렸다 하는 레그 레이즈 동작이

대퇴직근을 운동시킬 수 있는

동작이 되는 것입니다

 

무릎은 움직이지 않으니

광근은 크게 운동되지 않고

대퇴직근이 더 많이 운동되겠죠 

또한 대퇴사두근의 가장 큰 특징은

슬개골의 조절 능력에 의해

근육의 참여도가 발생하는

구간이 설정된다는 것입니다

 

자세한 원리는

골격의 기능 편에서 얘기해드릴 거고요

간단히 얘기하면

우리가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을 수행할 때

대퇴골과 경골이 대략 90도 정도의

각도를 이룰 만큼 구부러지게 되면

 

대퇴사두근과 슬개골을 잇는

따라서 그 이후의 구부러짐에 대해서는

대퇴사두근이 더 이상 늘어나지 않아

장력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저항값이

더 이상 커지지 않게 되겠죠

 

따라서 그 이상으로 구부려 운동한다 해도

저항의 최댓값은 이미 지나있는 상태여서

대퇴사두근이 더 운동되지는

않는다는 얘기입니다

 

물론 더 구부려 운동할 때는

그 각도에서 사용되는 다른 근육들이

발달된다는 이점이 있습니다만

대퇴사두근만을 두고

얘기한다면 이렇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스쿼트 같은 운동을 할 때

대퇴사두근은

대퇴골이 바닥과 수평이 되는 지점쯤에서

이미 최대로 운동이 되고 있고

그 이하로 주저앉는다고 해서

더 크게 운동이 되지는 않는다는 얘기입니다

 

물론 조금 더 저항이 커질 순 있겠지만

그 구간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은

둔근이지 대퇴사두근이 아니라는 것이죠

 

정리하자면

 

1. 대퇴사두근은 두 개의 시작점을 가지므로

   무릎을 펴는 것과 다리를 들어 올리는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2. 슬개골에 의해 장력의 최대 발생구간이 생기며

   그 이후 구간에서의 신전은

   대퇴사두근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둔근에 영향을 미친다

 

이상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모두 제대로 알고 운동하시고

시간낭비 체력 낭비 없이

멋진 대퇴사두근 만드시길 바랍니다^^

'해부학의 모든것 > 근육의 모든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두근 (Biceps brachii)  (0) 2020.07.31
삼두근 (Triceps brachii)  (0) 2020.07.31
슬괵근 (Hamstring)  (0) 2020.07.31
둔근 (Gluteus)  (0) 2020.07.31
척추 기립근 (Erector spinae)  (0) 2020.07.31